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코드로보시죠

[JavaScript-06] return이 있는 함수와 없는 함수 차이점 본문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JavaScript-06] return이 있는 함수와 없는 함수 차이점

코드로 보시죠 2023. 9. 24. 02:12

return 뒤에 값을 적으면, 그 값을 함수 호출부에 전달해주죠.

전달만 할 뿐, 출력하진 않아요. 

 

아직 이해 안 되시는게 당연한데요,

바로 코드로 보시죠.

function noReturn(num){
    console.log(num);
};

function withReturn(num){
    return num + 1
};

//함수 호출부

noReturn(1)
withReturn(1)

자, noReturn 함수는 함수 기능 자체에서 console.log를 찍어주니까 호출 결과 1이 출력되겠죠.

그런데, withReturn(1)을 호출하면, 함수 내부에 출력함수가 없어서 실행 결과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요

그럼, 아래처럼 코드를 바꿔보면 어떨까요?

function withReturn(num){
    return num + 1
};

//방법1 - 출력함수 파라미터에 넣어주기
console.log(withReturn(1))

//방법2 - 호출값을 변수에 할당한 후 출력하기
let a = withReturn(1)
console.log(a)

둘 다 2가 잘 출력되겠죠~

참고로, 함수를 정의하거나 호출할 때 괄호속에 넘겨주는 값들을 파라미터라고 불러요.

엄밀히는 함수 정의부는 파라미터, 

호출할 때는 아규먼트라고 부르는데,

전공자나 개발자들도 그냥 혼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