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11] 형 변환 본문
말 그대로, 데이터 타입을 바꿔줍니다.
코드로 보시죠
//숫자 자료형으로 바꿔주기
console.log(Number('123')) //123
console.log(Number('hi')) //NaN
Number함수를 쓰면, 숫자형으로 변경이 되네요~
주의할 점은, N은 대문자로 써줘야 한다는 점!
또, '123'과 같이, 문자열 내부가 숫자인 경우는 숫자로 잘 변환이 되고,
그 이외는 NaN이 된다는 점!
//문자형으로 변경
console.log(String(1) + String(2)); //12
출력결과는 3이 아니라 12가 되겠죠~
여기서도 첫 글자 S는 대문자로 써주기!
//불린형으로 변경
console.log(Boolean(1)); //true
console.log(Boolean(0)); //false
console.log(Boolean(NaN)); //false
console.log(Boolean('')); //false
조금 특이하죠?
컴퓨터의 세상에서, 0은 거짓, 1은 참을 의미합니다.
빈 문자열과 0, NaN값은 false의 값을 가진다는 것도 앞으로 종종 사용하니 기억해두기.
중급자 이상의 프로그래밍에서 빈 문자열 조건을 종종 사용합니다!
조건문에서요.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13] ==와 ===차이 (2) | 2023.09.24 |
---|---|
[JavaScript-12] 형 변환 함수를 쓰지 않았는데 지 혼자 형변환 해버리네 (0) | 2023.09.24 |
[JavaScript-10] typeof연산자로 자료형 확인하기 (0) | 2023.09.24 |
[JavaScript-09] 불린(boolean) 연산 (0) | 2023.09.24 |
[JavaScript-08] 문자열 만들기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