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46] 함수를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기 (함수표현식) 본문
자, 여기부터는 이제 난이도가 슬슬 올라갑니다.
일반적으로 함수는
function adder(x, y){
return x + y;
};
이런 식으로 선언을 했었죠?
그런데, 함수를 선언하는 또 다른 방식이 있는데,
먼저 코드로 보여드릴게요!
//정의부
const adder = function (x, y){
return x + y;
};
//호출
console.log(adder(3, 4));
이렇게, adder라는 변수에 함수를 할당해주고,
변수 뒤에 괄호를 넘겨줘서 함수를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선언하는 방식을 함수표현식이라고 부릅니다.
자,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 내용이 어렵고 중요하니까 집중하세요!
위에 제가 적어둔 함수 표현식은, 변수이름은 있으나 함수 자체에는 이름이 없죠?
위의 코드를 살짝 바꿔볼게요.
//정의부
const adder = function summation (x, y){
return x + y;
};
이제, summation이란 이름을 가진 함수를 adder라는 변수에 할당했네요.
자, 그럼 여기서 질문 하나.
저 함수를 호출하려면,
adder(1,2);
summation(1,2);
둘 중 뭐가 맞을까요?
네, 정답은 adder입니다.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된 함수를 호출할 땐, 반드시 변수 이름을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꼭 기억해주기!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48] arrow function (화살표함수) (2) | 2023.10.01 |
---|---|
[JavaScript-47] ...args뜻 (REST파라미터) (0) | 2023.10.01 |
[JavaScript-45] false로 취급받는 아이들 (0) | 2023.10.01 |
[JavaScript-44] 배열과 객체를 복사할 때의 주의사항 (0) | 2023.10.01 |
[JavaScript-43] 문자열은 수정 불가!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