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50] if를 사용하지 않고 조건식 쓰기(삼항연산자) 본문
자, 아래와 같은 조건식을 생각해볼까요?
const passFail = ''
x = 80
if (x>=60) {
passFail = 'pass';
} else {
passFail = 'fail';
};
조건문을 일일이 쓰는 것은 생각보다 번거롭기도 한데요,
그래서 if를 쓰지 않고, 간결하게 조건식을 표현할 수 있는 문법이 등장했답니다!
하지만, 실무나 프로젝트에서 잘 쓰는 것 같진 않아요.
그래도, 혹여 다른 사람이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다면, 무슨 의미인지는 알아야 하니까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만 알아두고, 무슨 의미인지 해독할 수 있을 정도로만 공부해봅시다.
바로 코드를 보여드리면서 설명해볼게요!
const passFail = ''
x = 80
if (x>=60) {
passFail = 'pass';
} else {
passFail = 'fail';
};
아까 전의 if문을 이제 삼항연산자로 간단하게 바꿔볼게요!
x = 80
const passFail = (x >= 60) ? 'pass' : 'fail';
이렇게 바꿀 수 있는데요!
코드 길이가 아주 간결해졌죠?
쓰는 방법은,
(조건) ? 동작 : 동작
의 형태입니다!
조건을 만족하면 수행할 동작은 물음표 뒤에,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수행할 동작은 콜론 뒤에 적어주는 것이죠!
위의 코드에서는, x값이 60이상이라면 물음표 뒤의 pass라는 값이 passFail이라는 변수에 할당되고,
x값이 60보다 작다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니 콜론 뒤의 동작만 수행되어 fail값이 변수에 할당되겠죠?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52] 객체 spread (0) | 2023.10.01 |
---|---|
[JavaScript-51] 배열 spread (0) | 2023.10.01 |
[JavaScript-49] this키워드 (2) | 2023.10.01 |
[JavaScript-48] arrow function (화살표함수) (2) | 2023.10.01 |
[JavaScript-47] ...args뜻 (REST파라미터) (0) | 202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