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모든 request는 head와 body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부분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head: request에 관한 정보가 담깁니다. 이게 GET, POST, PUT, DELETE중 뭔지부터 시작해서, 기타 정보들이 담깁니다. 이런 부가 정보들은, 여러 개의 header(헤더)라고 하는 이름을 가진 키:값 쌍으로 구성됩니다. (2) body: request시 보낼 데이터 자체가 담기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5라는 데이터 추가해줘~ 하면, head에는 POST, body에는 5를 줘야겠죠? 조금 더 생각해보면,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삭제해달라는 GET, DELETE request는 body부분이 비어있을 수도 있겠죠? 자, 이제 이론은 여기까지 하고, 실전으로 들어가봅시다! 요..
73번 챕터에서, request와 response가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에 오고가며 웹 통신이 이뤄진다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브라우저가 서버에 보낼 수 있는 request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가장 대표적인 4가지를 배워봅시다. (1) GET: 이건 데이터를 달라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내용 없이, 요청한 주소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는 거니까, 데이터 조회 요청이라고 보면 되겠죠? (2) POST: 이건, 새로운 데이터 추가 요청입니다! (3) PUT: 기존데이터를 수정해달라는 요청입니다! (4) DELETE: 단어 그대로 특정 데이터를 지워달라는 삭제 요청입니다. 그래서 각각을, GET request를 보낸다, POST request를 보낸다 등등으로 표현합니다!
우리가 보는 브라우저에 예쁜 사이트가 보여지기 까지의 과정을 보여드리면, (1) 웹 브라우저가 해당 url을 서버에 전달 (서버야!! 이 url에 해당하는 데이터 보내줘!!) >> 이걸 요청(Request)을 보낸다고 합니다 (2) 서버는 해당 url의 내용을 찾아서, html, css, js등의 코드나 json을 브라우저에 전달(자 여기 코드 줄게!!) >> 이걸 응답(response)라고 부릅니다. (3) 브라우저는 서버한테 받은 코드를 해석해서 웹페이지로 띄워줌. 즉, 브라우저가 서버한테 주소를 주면, 서버는 그 주소에 저장된 코드들을 브라우저한테 보내주고, 브라우저가 코드를 해석해서 사이트의 모양을 만들어서 보여주는겁니다.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의 request와 response, 이해가 가셨길 바..
자, 지난 시간에 json이 뭔지는 설명을 해뒀으니 한결 편하네요. ㅎㅎ 오늘은, json을 실제로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json파일을 처음 받아오면, 자바스크립트는 json을 놀랍게도 객체나 배열이 아닌 문자열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이를 배열로 변환해줘야 쉽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son데이터를 자바스크립트 배열로 변환하는 메소드는, JSON.parse입니다. 여기서 JSON은, json파일을 다루는 메소드들을 모아둔 내장객체입니다. JSON내장객체 안의 parse메소드를 쓰면, json데이터가 자바스크립트 배열이 됩니다. 예제 코드를 보시죠 fetch('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 .then((..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줄임말입니다. 앞으로 개발을 하다 보면, json을 달고 살 건데요. 오늘은 js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json은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형식입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형태가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기에, JS Object Notation이라는 이름이 붙은거죠. 잘 보시면, 대괄호 속에 객체들이 콤마로 나열되어 있죠? 생김새를 보여드리자면, 이런 형식으로 생겼습니다. 잘 보면, id, name등등, 무언가를 설명하고 있죠? 이렇게,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형식을 json이라 부릅니다. json은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문법..
자, 70번 강의부터는 기본 문법 수업이 아닙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웹 개발 공부를 시작할 단계입니다! 본격적인 웹 개발 코드들을 만나보기 전에, 몇 챕터에 걸쳐 웹의 기본 이론들을 배우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URL에 대해 알아볼게요. URL이 뭔지 모르는 사람은 당연히 없겠죠. 그런데, 우리는 개발을 공부하는 사람들이니까, url은 이런거야~ 하고 넘어가서는 절대 안됩니다. url의 긴 글자들을 하나 하나 뜯어보며,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볼겁니다. https://codeprince.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 자, 크게 보면 이렇게 네 부분인데요. (1) https:// 혹은 http://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