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03]변수와 data타입의 모든 것 본문
(1) 변수가 뭐임?
-비전공자 ver: 내용을 담아두는 공간이나 그릇!
let a = 5
let b = 'hi'
이런 코드가 있다 치면, a라는 그릇 안에 5라는 내용물이 담기게 되고,
b라는 그릇 안에는 hi라는 문자가 담기게 됩니다.
let이 뭔지, ' '는 왜 있는지는 아래서 설명해드릴게요
자 이제,
console.log(a)
console.log는 내용을 출력하라는 함수입니다.
자 그럼, a라는 그릇에 담긴 5가 출력되겠죠? 참 쉽다~~
-전공자 ver
전공자가 변수를 모를리는 없으니,,
자료구조에서 다들 배우셨죠, 정확히는 내용물을 담는게 아니라,
5라는 내용물이 담겨있는 컴퓨터 메모리 어딘가의 주소를 담게 되는 것.
정확히는, 해당 내용의 주소를 참조하는 거죠 ~~
(2) 변수 선언 방법
나 변수 선언할게~ 하고 알려주는 키워드들이 있는데요 크게 4개입니다.(최근에 하나 나옴)
이제 쓰면 ㅉㅉ소리 들음: var
사용 권장: let, const
새로 나옴, 중급자 이하는 쓸 일 없음: using
자 우선, 우리는 앞으로 let과 const를 쓸 겁니다.
let a = 5
const b = 3
이렇게, let이나 const를 먼저 써주고, 등호를 하나 써준 뒤에,
원하는 데이터 타입을 적어주면 되는 것이죠
(등호를 하나 쓰면, 같다는 내용이 아니라,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넣어달란 의미인데요,
이 내용은 나중에 연산자 강의에서 정리해드릴게요. 지금은 이런거구나~ 하고 넘어갑시다)
(3) 데이터타입이 뭐임?
우리말로는 자료형이라고 하는데요,
변수 안에 넣을 데이터가 숫자인지 문자인지 등등을 따져본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수나 소수는 그냥 등호 옆에 써주시면 됩니다. 음수도 가능.
근데, 문자열의 경우는 ' ' 나 " " 속에 내용을 적어주세요!
불린 자료형은 참과 거짓을 의미합니다.
개발을 처음 배우면, 이런걸 어디 써?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저도 그랬습니다)
중급자 이상이 되면, 정말 자주 사용합니다.
불린은 true, false의 값을 가집니다
//숫자형 데이터 타입(number)
let a = 3
let b = 0
let c = 1.3
let d = -1.5
//문자열 데이터 타입(string)
let e = 'hi'
let f = "hi"
//불린 데이터타입(boolean)
let g = true
(5) 변수 이름은 아무렇게 지으면 안됩니다
위에서 제가 적은 것 처럼 a,b,c 를 쓴다거나, x,y,z를 쓰면 진짜 뺨따구를 세게 맞습니다
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양 수업을 같이 듣다 보면, 비전공자 친구들이랑 팀플을 하게 되는데,
변수 이름을 저따구로 지어놓고 으슥대는 걸 보면 정말 인류애가 바닥납니다.
우리는 절대 그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드릴게요.
1. 변수의 첫 글자
변수의 첫 글자는 문자 a-z, A-Z와, 언더바(_), 달러표시($)만 가능합니다.
그 이외의 것들로 선언하면 변수로 인식을 못해요. 즉 문법 오류입니다.
두 번째 글자부터는 숫자까지 가능.
한글은 쓰지 맙시다 그냥. 문법적 오류인가요? 묻지 마시고 그냥 영어쓰세요 제발.. (제발....)
2. 예약어 사용 금지
기본 문법으로 제공하는 if, for등등은 사용 금지. 이것들은 나중에 차차 배우니
지금은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됩니다.
저도 코딩을 처음 배울 적에, 이게 뭔소리야 했는데,
그냥 넘어가도 아무런 문제 없어요 차차 알게됩니다
(3) 구체적인 작명
변수명을 name으로 한다?
뺨따구를 엄청 맞습니다.
가끔 비전공자 친구들이 졸업 필수 교양 프로그래밍 강의를 들으며
자랑스럽게 코딩화면을 SNS에 올리던데...
변수 이름이 name, age..... 으악....
본인들은 나름 멋있다(?) 생각해서 올렸을지 몰라도,
정말 훈수를 30분 두고 싶었지만, 아싸가 될 순 없기에 간신히 참았던 기억이 있는데요.
전에 주석 강의에서 말씀드렸지만,
프로그래밍은 다른 사람들이 봐도 무슨 코드인지 이해할 수 있어야 좋은 코드입니다.
그러려면, 변수 이름도 name이 아니라, 무슨 이름인지
userName, salesItemName이런 식으로, 아주 구체적으로 적어줘야 합니다.
여러분 자바스크립트 왜 배우세요?
웹 개발하시려는거잖아요.
웹을 개발할 때, name의 의미를 넣을 변수가 얼마나 많겠어요?
구분해야죠..
이제 명심합시다. 무조건 변수 이름은 구체적으로......
(4) 카멜표기법
오케이 구체적으로 쓰는거 접수! 하시고
설마 변수 이름을
newuserlist 이런식으로 지으시진 않겠죠....
구체적으로 변수 이름을 지을수록, 뭘 담는 변수인지는 잘 보이지만,
단어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기에,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죠.
그래서, 우리는 카멜표기법을 써서 가독성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newUserList
어때요? 확 달라졌죠?
단어의 시작 글자를 대문자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중간중간 대문자로 튀어나온게 낙타의 혹 같다 하여 카멜표기법으로 불립니다.
이건 개발자들 사이에서 내려오는 국룰이니까요,
꼭 지켜주세요.
자, name에서 newusername에서 newUserName으로!
훨씬 제 마음이 편해졌네요 ㅎㅎ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06] return이 있는 함수와 없는 함수 차이점 (0) | 2023.09.24 |
---|---|
[JavaScript-05] 함수 만들기 생기초편 (0) | 2023.09.24 |
[JavaScript-04] var를 쓰지 않는 이유와 호이스팅 (0) | 2023.09.24 |
[JavaScript-02] 주석(comment)의 모든 것 (0) | 2023.09.24 |
[JavaScript-01] 세미콜론 in 자바스크립트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