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16] 옵셔널(디폴트)파라미터 본문
함수가 정의될 때는 파라미터가 있는데,
호출할 때 사용자가 파라미터를 넘겨주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이 값을 넣어주자~ 하는 문법인데요
코딩을 누가 말로 이해합니다
코드로 보시죠
function student(name, age, nationality = 'korea') {
console.log(`${name}학생은 ${age}살이고, ${nationality}사람입니다`);
};
//함수 호출
student('lee', 20, 'UK');
student('kim', 30); //자 바로 여기!!!! 국적은 디폴트 값인 korea로 나오겠죠
두 번째 호출 코드 보이시죠?
이렇게, 파라미터를 넘겨주지 않을 때 자동으로 넣어줄 값을 함수 정의부에 대입 연산자를 써서 정의해주면 된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
디폴트 파라미터는 무조건 맨 마지막에 나와야해요. 디폴트 파라미터 뒤에 일반 파라미터가 나오면 안됩니다!
조금 더 레벨업을 해볼까요?
만약, 어떤 함수에, 옵셔널 파라미터가 2개 있는데,
먼저 나오는 녀석만 디폴트 값을 사용하고 싶다면 어떡해야 할까요?
답은, undefined를 넘겨주면 됩니다.
말로 하면, 이게 무슨 소리인지 전혀 모르시는게 당연하기 때문에,
코드로 함께 살펴보도록 합시다!
function student(name, age = 10, nationality = 'korea') {
console.log(`${name}학생은 ${age}살이고, ${nationality}사람입니다`);
};
//함수 호출
student('lee', undefined, 'USA');
// lee 학생은 10살이고, USA사람입니다
이렇게, undefined를 넘겨주면 디폴트 값을 사용하게 된다는 점! 기억해둡시다!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18] let const 차이 (0) | 2023.09.25 |
---|---|
[JavaScript-17] 지역(로컬)변수 & 전역(글로벌)변수 (0) | 2023.09.25 |
[JavaScript-15] null undefined 차이점 (0) | 2023.09.25 |
[JavaScript-14] 템플릿 문자열 `${}` (0) | 2023.09.24 |
[JavaScript-13] ==와 ===차이 (2)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