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18] let const 차이 본문
const와 let은 변수를 처음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라고 배웠는데요,
둘의 차이는 뭘까요?
결론은
let > 재할당 가능
const > 재할당 불가. 선언한 값 절대 못 바꿈
const 는 constant의 약자로, 상수라는 뜻입니다.
변하지 않는 수라는 의미죠.
즉, 한 번 값을 주면, 재할당이 절대 안됩니다.
개발을 하면서, 절대 바뀌면 안되는 값들을 표시하고 싶을 때,
const로 변수를 선언해주면 코드가 길어져도 비숫한 이름의 변수를 착각해
아래서 재할당 선언을 해버려 값을 바꾸는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겠죠?
어렵죠?
그러겠죠, 누가 코딩을 말로 이해해요.
코드로 보시죠
//변수 선언
let a = 5;
const PI = 3.14;
//변수 재할당
a = 7;
PI = 3.141592;
console.log(a) //7
console.log(PI) //에러. 상수는 재할당 불가
캬~ 이해가 쉽죠?
추가로, 상수는 const로 선언하는 것 이외에도, 변수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해주는게 국룰입니다.
앞으로 개발 하시다가,
다른 사람이 대문자로 쓴 변수를 보면,
아, 저건 바뀌면 절대 안되는 값이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20] switch문 (0) | 2023.09.25 |
---|---|
[JavaScript-19] 조건문(if문) (0) | 2023.09.25 |
[JavaScript-17] 지역(로컬)변수 & 전역(글로벌)변수 (0) | 2023.09.25 |
[JavaScript-16] 옵셔널(디폴트)파라미터 (0) | 2023.09.25 |
[JavaScript-15] null undefined 차이점 (0)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