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코드로보시죠

[JavaScript-20] switch문 본문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JavaScript-20] switch문

코드로 보시죠 2023. 9. 25. 01:07

코드로 보시죠

let a = 3;

switch(a){
    case 1:
        console.log('1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case 2:
        console.log('2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case 3:
        console.log('3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1,2,3중에 하나를 골라주세요');

}

//3번을 고르셨습니다

자, 우선 switch파라미터에 원하는 변수명을 써줍니다. 

중괄호 열어주시고, case 값 형태를 쭉 나열해줍니다. 

 

그럼, switch파라미터로 넘어온 변수의 값이 case옆의 값과 같은지 비교를 시작합니다. 

if a == 1인지 본단 얘기죠 논리적으로 말하면. 

 

그래서 쭉 내려오다가, 3에서 같으니까 3번 case를 타고 들어갑니다. (나머진 실행 안되겠죠? 얘도 조건 만족하는 부분만 실행합니다)

그래서, 조건을 만족하는 case부터 시작해서 break을 만나기 전까지 모두 실행합니다. 

그래서, 각 case마다 break를 걸어 switch문을 탈출하게 짜주셔야 해요.

 

default는, 위에 적어준 어떤 case에도 해당하지 않은 경우에만 출력되는 구문입니다. (위 케이스에 break가 있어야 이렇게 동작하겠죠?)

안 쓰셔도 상관 없어요.

 

예제 하나 더 보여드릴까요?

코드로 보시죠

 

let name = 'lee'

switch(name){
    case 'lee':
        console.log('hi lee');
        break;
    default:
        console.log('who are you..?')'
        }

뭐가 출력될까요?

그렇죠~

hi lee겠죠~~

 

name 변수에 담긴 값과, case옆의 문자열이 완전 같으니 조건을 만족하죠.

그럼, lee case문을 타고 들어오고, 디폴트문은 실행되지 않죠. 왜? break있으니까.

 

 

자 정리하면,

switch는 역시 조건문의 일종인데, 파라미터로 변수나 값을 넘겨받아서,

그 값이 case옆의 값이랑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조건문입니다!

 

case옆의 값이 뭘 의미하는지,

break을 써야 하는 이유는 뭔지,

default는 뭔지 이해하셨다면,

 

쿨하게 넘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