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코드로보시죠

[JavaScript-38] e가 사용된 숫자의 의미(지수표기법) 본문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JavaScript-38] e가 사용된 숫자의 의미(지수표기법)

코드로 보시죠 2023. 9. 28. 20:52

계산기를 두드리다 보면.. 8e9 이런 숫자 보신 적 있으시죠??

이게 대체 뭐야.. 하셨을 텐데요!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저런 숫자들을 직접 입력하시고, 해석하실 수 있어야합니다!

 

엄청 쉬워요! 가볍게 쉬어가는 코너라 생각하고 배워봅시다!

일단, 미적분 시간에 보는 자연상수 e는 아닙니다!

 

컴퓨터에서 e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0이 아주 많이 붙는 큰 숫자나, 소숫점이 너무 긴 숫자들을, 직접 키보드로 입력하기엔, 

실수를 하기도 쉽고, 번거롭겠죠?

 

그래서 저희는 e를 사용합니다!

e뒤에 써준 수만큼 10의 거듭제곱을 해주란 의미입니다. 

이렇게 e를 사용해 표기하는 방식을 지수표기법이라 부릅니다!

 

예시 코드를 보여드릴게요!

코드로 보시죠.

console.log(7e5) //700000
console.log(-12e8) // -1200000000
console.log(4e-3) // 0.004

이렇게, e앞에 있는 수에, 10의 거듭제곱을 곱해주는거죠.

그럼, 아주 큰 수를 짧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겠죠?

또, 세 번째 코드처럼, e뒤의 수는 음수도 가능합니다. 그럼, 소숫점을 찍어주는게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