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39] toFixed, toString 본문
이번 시간에는, 숫자형 데이터와 관련한 두 가지 메소드를 소개해 드릴게요.
숫자를 담은 변수.toFixed(n) 은 소숫점을 n번째 자리까지만 나타내주는 함수입니다.
그러니, n+1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주겠죠?
말로 적자니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데, 코드로 바로 보시죠.
let num = 3.141592
console.log(num.toFixed(2)) //3.14
console.log(num.toFixed(4)) //3.1416
console.log(num.toFixed(10)) //3.1415920000
이제 이해가 좀 가시죠?
추가로, 세 번째 코드처럼, 그 수가 가진 소숫점 자리보다 더 큰 범위를 지정하면, 나머지는 0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그런데,, 제일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toFixed를 적용해서 나온 결과는 숫자가 아니라 문자열이라는 것!!!!!!
그렇기에, 연산에 사용하려면, Number()함수로 형 변환을 해주셔야 합니다!!
let num = 3.141592;
console.log(Number(num.toFixed(2)) + 3);
이런식으로 말이죠!
실제로, Number함수를 씌워주지 않고 typeof연산자로 자료형을 확인해보면, string이 출력됩니다.
다음은, 자주 쓰진 않지만, 알아둬서 나쁠 건 없는 toString메소드입니다.
숫자를 담은 변수.toString(n)을 넣어주면, 해당 숫자를 n진법으로 바꾸란 의미입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num = 134;
console.log(num.toString(2)); //2진법으로 변환
console.log(num.toString(16)); //16진법으로 변환
이해가 잘 되시죠?
추가로, toString역시 반환값은 string이기에, 계산에 사용하실 경우, 형 변환을 하고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41] 반올림, 올림, 버림 함수 round, floor, ceil (0) | 2023.09.28 |
---|---|
[JavaScript-40] Math 객체 (절댓값, 최대최소, 제곱근, 거듭제곱 표현) (0) | 2023.09.28 |
[JavaScript-38] e가 사용된 숫자의 의미(지수표기법) (0) | 2023.09.28 |
[JavaScript-37] 다차원 배열 (0) | 2023.09.28 |
[JavaScript-36] 배열 for of반복문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