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로보시죠
[JavaScript-42] 문자열 메소드(slice, trim, 대소문자 변환, indexOf) 본문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JavaScript-42] 문자열 메소드(slice, trim, 대소문자 변환, indexOf)
코드로 보시죠 2023. 9. 28. 22:21바로 코드로 보시죠.
설명은 주석으로 달아 드릴게요!
[1] 문자열의 원하는 부분만 가져오기-slice
//slice(시작, 끝) >>> 문자열을 시작부터 (끝 - 1)번까지 출력해옴
let str = 'hello lee';
console.log(str.slice(4,8)); //출력 결과는 o le
먼저, slice메소드입니다! 슬라이스는,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만 가져오는 문법입니다.
주의할 점은, 지정해준 끝 번호 직전까지만 출력이 된다는 점! 8번을 끝으로 입력해줬다면, 7번 인덱스까지만 가져옵니다!
그리고, 문자열에서는 공백도 인덱스를 갖습니다! 따라서, o는 4번 인덱스, l은 6번 인덱스입니다!
slice함수의 두 번째 파라미터를 비우면, 끝까지 가져온다는 의미입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str = 'hello lee';
console.log(str.slice(4));
이렇게 써주면, 4번 인덱스부터 끝까지를 출력하겠다는 의미가 됩니다!
[2] 맨 앞, 맨 뒤의 공백제거 - trim
let str = ' hi lee. ';
console.log(str.trim());
지금, str이라는 문자열의 맨 앞과 뒤에 불필요한 공백들이 많이 있네요.
trim함수를 써주면, 이들을 모두 제거해줍니다.
실행 결과는, hi lee.가 되겠죠?
[3]대문자 소문자 변환 - toLowerCase, toUpperCase
let str = "hi, I'm lee";
console.log(str.toUpperCase()); //HI, I'M LEE
console.log(str.toLowerCase()); //hi, i'm lee
[4] 문자열 안에서 특정 문자가 처음 등장한 인덱스 찾기 - indexOf
let str = 'hi lee';
console.log(str.indexOf('l')); //3
indexOf메소드, 기억나시죠? 배열에서 사용한 적이 있는데요,
찾고자 하는 요소가 여러번 등장하면, 맨 처음 인덱스만 반환된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lastIndexOf를 쓰면, 맨 뒤에서부터 탐색을 한다는 점도 주목!
-1이 출력결과로 나오면, 해당 값은 문자열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
자바스크립트엔 음수 인덱싱 기능이 없어요~ -1은 맨 뒤가 아니라, 없다는 의미!!
'[JavaScript] 코드잇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44] 배열과 객체를 복사할 때의 주의사항 (0) | 2023.10.01 |
---|---|
[JavaScript-43] 문자열은 수정 불가! (0) | 2023.09.28 |
[JavaScript-41] 반올림, 올림, 버림 함수 round, floor, ceil (0) | 2023.09.28 |
[JavaScript-40] Math 객체 (절댓값, 최대최소, 제곱근, 거듭제곱 표현) (0) | 2023.09.28 |
[JavaScript-39] toFixed, toString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