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87)
코드로보시죠
import는 export한 요소들을 파일에 불러와 사용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기본적인 문법은, ------------------------------------ import { 변수나 함수 } from '파일경로'; ------------------------------------ 인데요, 예제 코드로 보여드릴게요. //이 파일의 이름은 index.js라 가정 //(변수 선언부는 생략) export { name, title }; 자 이렇게, index.js파일에서 name과 title을 내보냈는데, 이제 제가 저걸 사용해볼게요 import { name, title } from './index.js'; 이제 이해가 잘 가시죠? import { name as userName, title } from..
(1) export의 의미 말 그대로, 내보낸다는 의미입니다. 뭘 내보내냐? 변수, 함수 등을 내보냅니다. 즉, 다른 파일에서도 현재 파일의 함수나 변수를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게 내보내겠다는 의미입니다. (2) export하는 법1: 선언문 바로 옆에 export써주기 export let brand = 'benz'; let model = 'E220'; export function carPrinter(){ console.log(`brand: ${brand}, model: ${model}`); }; 자, 가장 원초적인 방법은, 내보내고 싶은 변수나 함수의 선언부 맨 앞에 export를 써주는 것입니다. 이 문법은 하나의 파일 내에서 원하는 것들만 선택적으로 내보낼 때 사용하면 되겠네요! (3) export..
html 파일에서 script태그를 써줄 때, src속성 앞에 type="module" 속성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이는 "모듈스코프를 만든다"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script태그에 type="module" 속성을 추가하지 않는다고 에러가 나지는 않지만, 의도치 않은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니, 모듈로 사용하고자 하는 파일은 반드시 추가해주기!
쉬어 가는 코너~!~! 앞으로 몇 챕터에 거쳐 우리는 모듈에 대해 배울겁니다. 이번 챕터에는 코드가 등장하지 않으니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ㅎㅎ 요즘 4차 산업혁명이니 뭐니 하면서, 거의 모든 대학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양과목을 듣게 하는데요. 비전공자 친구들은 아무래도, 자신들이 코딩이란걸 하는 것이 굉장히 뿌듯한가봅니다. 종종 자신의 코드를 SNS에 올리곤 하는데, 맙소사... 가끔 "1000줄 넘었다" 라는 멘트와 함께 line번호가 1000에 근접한 것을 자랑스럽게 인증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전공자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훈수를 5시간정도 둘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랬다가는 친구를 잃을 수 있기에 조용히 속으로 웃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이렇게, 하나의 파일에 너무 많은 코드를 작..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sort메소드를 이용해서 정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파이썬과 달리 파라미터를 비우고 그냥 sort()만 쓰면, 오름차순도 내림차순도 아닌 유니코드 기반 정렬이 되기에, 실무에서는 파라미터를 절대 비우지 않습니다.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을 구현하려면, sort의 파라미터 안에 함수를 적어줘야 하는데, 모양은 그냥 암기하시면 됩니다. 이번 시간은 쉬어가는 코너라고 생각해주세요! const arr = [9, 3, 23, 3, 7, 34, 8]; //오름차순 정렬 arr.sort((a, b) => a - b); //내림차순 정렬 arr.sort((a, b) => b - a); 주의할 점은, 원본 자체가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파이썬을 아시는 분들은 inplace = True의 느낌이라..
자, 이번 내용은 좀 어렵습니다. 이 메소드 역시 파라미터 안에 함수를 값으로 갖는데, 함수 외에도 초기값을 파라미터로 갖습니다. 파라미터 내부의 함수의 파라미터는 4개인데, 작명은 뭐로 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국룰은 acc, item, i, arr인데, 마지막 arr는 호출하고 있는 배열을 받아오는거라 굳이 써줄 필요가 없죠. item은 배열을 순회하며 받아오는 각 요소들, i는 인덱스로, 우리가 지금껏 살펴본 배열 메소드들과 역할이 동일합니다. 처음 보는 파라미터는 첫 번째 파라미터인 acc인데요! 이는 accumulator의 축약입니다(물론, 파라미터 이름은 acc말고 아무거나 지어도 됩니다) accumulator는 말 그대로 누산기입니다. 누적합을 구하고, 마지막 최종 값을 반환한다는 것인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