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while문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조건에 쓸 전역변수 선언 while (조건) { 수행부분 증감식 }; */ for문과 달리, 파라미터에는 조건식만이 들어갑니다. 이제, 이해를 돕기 위해 코드로 보시죠 let i = 1; while (i
for 반복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for(초기화부분; 조건식; 증감식){ 반복할 내용 }; */ for문이 반복문이란걸 아는 사람은 많지만, for문이 내부적으로 어떤 순서로 동작하는지, 디테일하게 알고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지금부터 저와 하나씩 알아보죠. 초기화부분엔 보통 for문 안에서 반복의 수를 세기 위해 사용할 지역변수를 선언해줍니다. 초기화부분은 for문이 시작될 때 처음 한 번만 동작하고, 그 이후론 다시 초기화되지 않고 무시됩니다. 조건식은, 현재의 변수의 내용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반복 내용을 실행하도록 해줍니다. 반복할 내용이 실행되면, 증감식으로 변수 값을 늘려줍니다. 줄글로 보니 어렵죠? 요약하면 for문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변수 초기화 2. 현..
코드로 보시죠 let a = 3; switch(a){ case 1: console.log('1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case 2: console.log('2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case 3: console.log('3번을 고르셨습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1,2,3중에 하나를 골라주세요'); } //3번을 고르셨습니다 자, 우선 switch파라미터에 원하는 변수명을 써줍니다. 중괄호 열어주시고, case 값 형태를 쭉 나열해줍니다. 그럼, switch파라미터로 넘어온 변수의 값이 case옆의 값과 같은지 비교를 시작합니다. if a == 1인지 본단 얘기죠 논리적으로 말하면. 그래서 쭉 내려오다가, 3에서 같으니까 3번 case를 타고 들어갑..
개발할 때 조건문을 가장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막 디테일하게 알 필요는 없고, 크게 로직만 아시면 됩니다. 조건문 관련된 어려운 예제 문제들 풀면서 자신감 잃지 마시고, 그냥 어떤 흐름으로, 어떤 논리로 코드가 동작하는지 거시적인 흐름을 아시는게 초보 단계에선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음 우선, if (조건) { 내용} else if (조건) { 내용} else { 내용 }; 의 형식으로 쓰면 되는데, 누가 코딩을 글로 합니까.. 코드로 보시죠 let a = 80; if (a >= 90){ console.log('A'); } else if (a >= 80){ console.log('B'); } else { console.log('C'); }; 출력 결과는? 그렇죠~ B죠. 처음 ..
const와 let은 변수를 처음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라고 배웠는데요, 둘의 차이는 뭘까요? 결론은 let > 재할당 가능 const > 재할당 불가. 선언한 값 절대 못 바꿈 const 는 constant의 약자로, 상수라는 뜻입니다. 변하지 않는 수라는 의미죠. 즉, 한 번 값을 주면, 재할당이 절대 안됩니다. 개발을 하면서, 절대 바뀌면 안되는 값들을 표시하고 싶을 때, const로 변수를 선언해주면 코드가 길어져도 비숫한 이름의 변수를 착각해 아래서 재할당 선언을 해버려 값을 바꾸는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겠죠? 어렵죠? 그러겠죠, 누가 코딩을 말로 이해해요. 코드로 보시죠 //변수 선언 let a = 5; const PI = 3.14; //변수 재할당 a = 7; PI = 3.141592;..
{ } 안에 선언된 변수를 지역변수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Local 변수. { } 밖에서 선언된 변수를 전역변수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global변수. 로컬변수는 해당 블록{} 안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전역변수는 어디서든 사용 가능합니다. 헷갈리죠? 말로 하니까 그렇죠. 코드로 보시죠. let a = 3; //전역변수 function print(){ let a = 5; //로컬변수 console.log(a); }; print() //함수 호출 console.log(a) /* 출력결과 5 3 */ 좀 이해가 가시나요? 함수 내부에 같은 a이름으로 변수가 하나 더 생겼는데, 블록문 내에선 기본적으로 지역변수가 있나 먼저 살펴보고, 지역변수랑 전역변수의 이름이 겹치면 블록문 내에선 지역변수가 우선 사용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