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메소드란, 객체의 프로퍼티 value에 정의된 함수를 의미합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greetings = { korea: function(){ console.log('안녕'); }, USA: function(){ console.log('hi'); } } //메소드 호출 greetings.korea() // 안녕 출력 greetings.USA() //hi출력 그럼, 위의 객체의 메소드는 몇 개일까요? 네! 2개죠. 바로, korea와 USA입니다. greetings객체 안에 정의된 함수이니, 메소드가 되겠네요! 그런데, 한 가지 특이한 점이 보입니다. function뒤에 함수의 이름을 써주지 않았네요? 메소드에서는, 함수의 이름을 key가 대신 해줍니다! 그래서 함수 이름을 쓰지 않은 것입니다! 메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수정: 객체 key 접근 후 값 재할당 [2] 추가: 없는 key접근 후 값 할당 [3] 삭제: delete 써주고 객체.key 접근 이제 코드로 보시죠 let myCar = { brand = 'benz', model = 'E300', 'purchase-year': 2022, options = { interior: null, exterior: 'window' } } //수정 myCar.model = 'E220'; mycar.options.interior = 'navigation upgraded'; //추가 myCar.price = 65,000,000; //삭제 delete myCar.brand; 이해가 확 되시죠? 별거 없습니다~~
객체를 만들었으면, 그 객체 안의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서 출력할 수도 있어야겠죠? 객체 안의 데이터를 접근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점 표기법: 객체이름.key이름 [2] 대괄호 표기법: 객체이름['key이름'] 이렇게 하면, 입력한 key에 해당하는 value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myCar = { brand = 'benz', model = 'E300', 'purchase-year': 2022, options = { interior: null, exterior: 'window' } } //객체 접근 - 점 표기법 console.log(myCar.brand) // benz출력 console.log(myCar.model) // E300출력 //객체 접근 - 대괄..
객체란, 키와 밸류쌍 여러 개를 묶어놓은 데이터 타입입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myObject = { name: 'lee', age: 55 } 자, myObject가 바로 객체입니다. 영어로는 오브젝트라고 부르는데요. 우리가 지금까지 배웠던 변수들을 생각해보면, 하나의 변수는 숫자, 문자열, 불린, null 등등, 하나의 값만 갖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 여러가지 설명을 붙여주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죠? 예를 들어, 필자인 저라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변수를 만든다 치면, 이름, 나이, 성별 등등.. 여러 정보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고 싶은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거죠. 이럴 때, 객체를 사용해서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지정해줄 수 있어요. 객체..
결론부터 말하면, for문의 iteration을 나타내는 변수는 지역변수 while문의 iteration을 나타내는 변수는 전역변수입니다. 즉, for(let i= 1;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