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배열의 맨 앞과 맨 뒤에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싶은 상황에서는, splice메소드보다 더 유용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바로, 제가 제목에도 적어드린 메소드들인데요. 사용법을 코드를 통해 보여드릴게요. 코드로 보시죠. let arr = [1, 2, 3, 4, 5]; //맨 앞 요소 지우고 나머지 앞으로 땡겨줌 arr.shift(); console.log(arr); //[2, 3, 4, 5] //맨 뒤 요소 지우기 arr.pop(); console.log(arr); //[2, 3, 4] //맨 앞에 요소 추가 arr.unshift(0); console.log(arr); //[0, 2, 3, 4] //맨 뒤에 요소 추가 arr.push(5); console.log(arr); //[0, 2, 3, 4, 5]..
splice메소드의 세 번째 파라미터에 특정 값을 전달해주면, 그 값은 삭제된 자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arr = [1, 2, 3, 4, 5] //1번 인덱스 자리 요소를 100으로 수졍 arr.splice(1, 1, 300); console.log(arr); //[1, 300, 3, 4, 5] //2번 인덱스 자리에 요소들 추가 - 지우는 개수를 0으로 하면 요소 추가가 됨 arr.splice(2, 0, 'hi', 'bye'); console.log(arr); //[1, 300, 'hi', 'bye', 3, 4, 5] 이해가 잘 되시죠? 핵심만 요약해드리자면, splice메소드의 파라미터에서, 삭제할 요소의 개수를 의미하는 두 번째 파라미터의 값을 0으로 주면, 해당 인덱스 자리..
결론부터 말하면, delete 배열이름[인덱스번호] 방식은 값 자체만 비우고, 공간은 남아있습니다. length가 줄지 않습니다. splice를 쓰면, 정말 공간까지 사라져 length도 줄고, 빈 칸은 자동으로 땡겨줍니다. 그래서 보통은 splice메소드를 많이 씁니다. splice 메소드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열이름.splice(삭제 시작할 인덱스, 삭제할 요소 개수); 예를 들어 볼까요? 코드로 보시죠 let arr1 = [1, 2, 3, 4, 5]; let arr2 = [6, 7, 8, 9, 0]; //1번 요소 1개만 삭제 arr1.splice(1, 1); console.log(arr1); //[1, 3, 4, 5] //3번째~5번째 요소 3개 삭제 arr2.splice(2, 3); ..
[1] 배열이란? 배열은 대괄호 속에 요소들을 콤마로 구분해 나열한 것입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arr = ['Austria', 'Hungary', 'Germany'] 이렇게, 대괄호 속에 여러 값을 묶어둔 것을 배열이라 부릅니다! [2] 인덱싱 let arr = ['Austria', 'Hungary', 'Germany'] //indexing console.log(arr[0]) //Austria 배열의 각 요소를 element라고 하는데요, 각 요소들은 인덱스라는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각 요소가 해당 배열 내에서 몇 번째에 위치하고 있느냐를 말해주는 숫자입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인덱스의 시작은 1이 아니라 0이라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배열의 첫 요소에 접근하고 싶다면, 인덱스 번호를 0..
[1] 현재 시각 출력하기 let now = new Date() //현재시각 출력 내장객체 Date를 사용할 때, 앞에 new를 붙여줘야 합니다! new 키워드는, 내장객체(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객체)나, 사용자가 만든 객체를 직접 사용하겠단 의미입니다! Date객체의 파라미터에 아무 것도 전달해주지 않고 비워두면, 코드를 작성한 시점이 담기게 됩니다! [2] 시간을 문자열로 지정하여 객체 생성하기 let time = new Date('2023-09-28T04:39:00'); 이렇게, Date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파라미터에 문자열로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시간을 정해줄 수도 있습니다. T를 써주고 뒤에 hh:mm:ss형식으로 시간까지 정해줄 수도 있습니다. [3] 시간을 파라..
for in 반복문은 객체의 프로퍼티 하나 하나에 순차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사용 방법은, 말로 하면 너무 어렵기에 그냥 바로 코드로 보시죠 let myCar = { brand = 'benz', model = 'E300', 'purchase-year': 2022, options = { interior: null, exterior: 'window' } } //for in 반복문으로 프로퍼티 하나 하나 접근 for (let item in myCar){ console.log(item); //key이름들만 순차적으로 출력 console.log(myCar.item); //value들만 순차적으로 출력 }; 자, for 과 in 사이에는 변수를 하나 써주시면 되는데, 말그대로 변수기에 이름은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