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spread는 명령어 이름은 아니고, 개념 이름입니다. 무슨 개념이냐?! 배열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준다는 얘깁니다. 명령어로 구현하려면, 배열 이름 앞에 마침표 세 개를 찍어주면 됩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arr1 = [1, 2, 3]; //일반적인 출력 console.log(arr1); // [1, 2, 3] //spread방법으로 출력 console.log(...arr1); //1, 2, 3 이렇게, 두 번째 호출을 보시면, arr1이라는 배열의 이름 앞에 마침표 세 개를 찍고 있죠? 그럼, spread방식으로 배열에 접근하겠다고 컴퓨터에게 전달해주는 셈입니다. 즉, 대괄호를 풀고 요소 하나 하나씩을 각각 꺼내서 가져오란 말이 됩니다. 이 메소드를 잘 활용하면, 배열을 병합할 수 있습니다...
자, 아래와 같은 조건식을 생각해볼까요? const passFail = '' x = 80 if (x>=60) { passFail = 'pass'; } else { passFail = 'fail'; }; 조건문을 일일이 쓰는 것은 생각보다 번거롭기도 한데요, 그래서 if를 쓰지 않고, 간결하게 조건식을 표현할 수 있는 문법이 등장했답니다! 하지만, 실무나 프로젝트에서 잘 쓰는 것 같진 않아요. 그래도, 혹여 다른 사람이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다면, 무슨 의미인지는 알아야 하니까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만 알아두고, 무슨 의미인지 해독할 수 있을 정도로만 공부해봅시다. 바로 코드를 보여드리면서 설명해볼게요! const passFail = '' x = 80 if (x>=60) { passFail = 'pass';..
이번 시간에는 this에 대해 배워볼게요! 결론부터 말하면, this는 함수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키게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함수를 하나 만들어두고, 그 함수를 여러 객체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하되, 함수의 세부적인 내용은 각 객체의 내용으로 채우게 하는거죠. 네네, 말로만 설명하자니 저라도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를 것 같은데요. 코딩을 누가 말로 배웁니까! 바로 코드로 보시죠 const printer = () => {console.log(this.name);}; //객체 생성 const lee = { name: 'lee boram', age: 20, //메소드(객체 안에 정의된 함수) //printer라는 이름을 가진 메소드는 printer라는 함수를 값으로 가짐 printer: printer }; ..
function키워드를 지우고, 파라미터 옆에 => 를 써서 함수를 조금 더 간결하게 표현해주는 기능입니다! arrow function은 주로 익명함수(이름이 없는 함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변수에 할당되어 익명으로 사용된 함수들을 간결하게 하는데 사용됩니다. 말로만 적고보니, 뭐라는지 제가 봐도 모르겠는데요, 코드로 보시죠! const adder = function(a,b) { return a + b; }; 자, 45강에서 배웠던 변수에 함수를 할당하는 방식, 함수표현식을 사용하여 함수를 생성하고 있죠? 이제, 이 함수를 arrow function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바꿔볼게요! function 키워드를 지우고, 파라미터 옆에 => 를 써준다고 했죠? const adder = (a,b) => { ret..
이번 시간에는, rest 파라미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rest 파라미터는 함수에 넘겨지는 아규먼트 값들의 개수를 고정시키지 않기 위해 사용합니다. 조금 쉽게 말하면, rest파라미터를 사용하면, 함수를 호출 할 때마다 넘겨주는 인자의 개수가 달라도 된다는 얘기죠. 언제는 100개, 언제는 3개 이런식으로요! 말로 하자니 조금 안 와닿는 것 같아, 코드를 통해 보여드릴게요. function winner(fisrt, second, third, ...args){ console.log(`gold medal: ${first}`); console.log(`silver medal: ${second}`); console.log(`bronze medal: ${third}`); for (let ar..
자, 여기부터는 이제 난이도가 슬슬 올라갑니다. 일반적으로 함수는 function adder(x, y){ return x + y; }; 이런 식으로 선언을 했었죠? 그런데, 함수를 선언하는 또 다른 방식이 있는데, 먼저 코드로 보여드릴게요! //정의부 const adder = function (x, y){ return x + y; }; //호출 console.log(adder(3, 4)); 이렇게, adder라는 변수에 함수를 할당해주고, 변수 뒤에 괄호를 넘겨줘서 함수를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선언하는 방식을 함수표현식이라고 부릅니다. 자,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 내용이 어렵고 중요하니까 집중하세요! 위에 제가 적어둔 함수 표현식은, 변수이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