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이번 시간에는, 숫자형 데이터와 관련한 두 가지 메소드를 소개해 드릴게요. 숫자를 담은 변수.toFixed(n) 은 소숫점을 n번째 자리까지만 나타내주는 함수입니다. 그러니, n+1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주겠죠? 말로 적자니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데, 코드로 바로 보시죠. let num = 3.141592 console.log(num.toFixed(2)) //3.14 console.log(num.toFixed(4)) //3.1416 console.log(num.toFixed(10)) //3.1415920000 이제 이해가 좀 가시죠? 추가로, 세 번째 코드처럼, 그 수가 가진 소숫점 자리보다 더 큰 범위를 지정하면, 나머지는 0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그런데,, 제일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계산기를 두드리다 보면.. 8e9 이런 숫자 보신 적 있으시죠?? 이게 대체 뭐야.. 하셨을 텐데요!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저런 숫자들을 직접 입력하시고, 해석하실 수 있어야합니다! 엄청 쉬워요! 가볍게 쉬어가는 코너라 생각하고 배워봅시다! 일단, 미적분 시간에 보는 자연상수 e는 아닙니다! 컴퓨터에서 e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0이 아주 많이 붙는 큰 숫자나, 소숫점이 너무 긴 숫자들을, 직접 키보드로 입력하기엔, 실수를 하기도 쉽고, 번거롭겠죠? 그래서 저희는 e를 사용합니다! e뒤에 써준 수만큼 10의 거듭제곱을 해주란 의미입니다. 이렇게 e를 사용해 표기하는 방식을 지수표기법이라 부릅니다! 예시 코드를 보여드릴게요! 코드로 보시죠. console.log(7e5) //7..
배열의 요소로 배열이 들어간 경우들에는 각 요소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코드로 보시죠. let arr = [[1, 2], [3, 4]] console.log(arr[1]) //[3, 4] console.log(arr[0][1]) //2 console.log(arr[1][0]) //3 네, 그냥 대괄호 표기법으로 인덱싱을 반복해서 해주시면 됩니다! 아마 이 부분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실텐데요! arr[1]로 접근을 한 결과는, arr배열의 1번 인덱스 요소인데, 그 요소 자체가 또 하나의 배열입니다. 따라서 arr[1] 은 배열 [3, 4]가 되죠. 이제 여기서, arr[1]이라는 배열에서 4만 추출하고 싶으면, 4는 1번 인덱스 이니, arr[1][1]로 접근해주면 되는 것이죠! 쉽죠?
객체의 각 요소들을 하나씩 반복하며 접근할 때 for in반복문을 사용했다면, 배열의 각 요소들을 하나씩 반복할 땐, for of문을 사용합니다. for of반복문의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for(변수 of 배열) let arr = [1, 2, 3] for (let element of arr){ console.log(element); }; 실행을 하면, 1 2 3이 순서대로 출력되겠죠? for of반복문에서 변수는 배열의 각 항목을 받아주게 됩니다!
includes는 특정 요소가 배열 안에 들어있는지를 check해 줍니다. 반환값은 불린형입니다.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let arr = [1, 2, 3, 4, 5]; console.log(arr.includes(2)); //true console.log(arr.includes(10)); //false reverse는 그냥 배열의 순서를 뒤집어줍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arr = [1, 2, 3, 4]; arr.reverse(); console.log(arr); // [4, 3, 2, 1] 이해가 가셨길 바랍니다! 사실 이번 포스팅 내용은 원체 쉬워서, 부담없이 이해하셨을 것 같습니다!
배열 안에, 특정 값이 어느 위치에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이 두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주의할 점은, indexOf에서 O는 대문자, lastIndexOf 에서 I랑 O는 대문자라는 점입니다! indexOf(값)을 사용하면, 배열을 처음부터 돌며 파라미터로 넘겨준 값이 처음 등장한 곳의 인덱스를 반환해줍니다. 만약, -1이 나왔다면, 그 값은 들어있지 않은 것입니다! 파이썬을 배우신 분들이라면, "어? -1이면 맨 뒤에 있다는거 아니야?" 하실 수도 있는데, 아쉽게도 파이썬과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음수 인덱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무튼, indexOf는 배열을 0번 인덱스부터 돌며, 찾고자 하는 값(파라미터에 넘겨준 값)이 여러번 등장할지라도, 처음 등장한 위치의 인덱스를 반환해줍니다. las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