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빈 문자열, 숫자0, null, undefined는 false, 나머지는 true. 주의: 빈 배열과 빈 객체는 false가 아님!! 조건문이나 반복문의 조건식 부분에 저런 아이들이 오면, true인지 false인지 맞출 수 있겠죠? 예시를 코드로 보여드리죠. if ('') { console.log('hi'); }; if (0) { console.log('hi'); }; if ([]) { console.log('hi'); }; if ({}) { console.log('hi'); }; if ('lee') { console.log('hi'); }; 다섯 개의 코드 중, 조건식 부분이 참이되어, console.log가 실제로 실행되는 코드는 3, 4, 5번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빈 배열과 빈 객체는 fa..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배열과 객체를 할당 연산자로 복사해서 새로 생성하면, 둘 중 하나의 값만 바꿔도 변경사항이 두 객체나 배열 모두에 적용됩니다! (숫자, 문자, 불린은 아님) 말이 조금 어려운 것 같으니, 코드로 보시죠! let arr1 = [1, 2, 3]; let arr2 = arr1; arr1.push(4); console.log(arr1); //[1, 2, 3, 4] console.log(arr2); //[1, 2, 3, 4] 위의 코드를 보시면, arr2라는 새로운 배열을 할당 연산자를 통해 arr1의 내용을 복사해와서 생성하고 있죠? 그런데, 위에서 말씀드렸듯, 배열과 객체는 저렇게 할당연산자로 내용을 복사하면, 둘이 같은 주소를 갖게 되므로, 하나의 내용만 바꿔도 서로에게 반영이 됩니다...
자, 문자열도 배열처럼 length메소드를 쓸 수 있고, 인덱싱을 할 수 있죠? let str = 'hi hi'; console.log(str.length); //5 console.log(str[1]); // i 이렇게요! 그런데, 배열과 달리 문자열은 수정이 절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코드는 사용 불가!! let str = 'hi hi'; str[2] = 'j' ; //잘못된 코드 수정 불가!!!!! 그냥 정말 따옴표 속을 직접 바꿔주시는 방법밖엔 없습니다.
바로 코드로 보시죠. 설명은 주석으로 달아 드릴게요! [1] 문자열의 원하는 부분만 가져오기-slice //slice(시작, 끝) >>> 문자열을 시작부터 (끝 - 1)번까지 출력해옴 let str = 'hello lee'; console.log(str.slice(4,8)); //출력 결과는 o le 먼저, slice메소드입니다! 슬라이스는,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만 가져오는 문법입니다. 주의할 점은, 지정해준 끝 번호 직전까지만 출력이 된다는 점! 8번을 끝으로 입력해줬다면, 7번 인덱스까지만 가져옵니다! 그리고, 문자열에서는 공백도 인덱스를 갖습니다! 따라서, o는 4번 인덱스, l은 6번 인덱스입니다! slice함수의 두 번째 파라미터를 비우면, 끝까지 가져온다는 의미입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
세 기능 모두 Math내장 객체에 있습니다. 코드로 보시죠 console.log(Math.round(2.55523)) //2 console.log(Math.round(6.1381237)) //1 Math.round를 쓰시면, 결과값은 정수가 됩니다! 반올림된 것이죠. Math.round메소드는, 소숫점 자리 지정 기능이 따로 없습니다. 그냥 무조건 반올림 결과는 정수입니다. 만약, 소숫점 n째 자리까지만 표현하고 싶다면, round가 아니라, toFixed함수를 쓰면 되겠죠? console.log(Math.floor(2.55523)) //2 console.log(Math.ceil(2.55523)) //3 floor는 버림, ceil은 올림 함수입니다. 소숫점 크기와 상관 없이, 그냥 무조건 소수점을 다 ..
Math라는 내장 객체를 이용하면, 여러 수학적 수치를 구현할 수 있는데요, Math객체는 내장 객체이기에, 따로 import해오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함수 앞에 Math.을 붙여주셔야겠죠? ㅎㅎ 예시 코드들을 보여드릴게요! console.log(Math.abs(-10)); //10 첫 타자는 Math.abs()네요! abs는 absolute의 줄임말로, 절댓값을 반환해주는 함수입니다! let nums = [124, 25, 9, 12, 323, 21, 3] console.log(Math.max(nums)); console.log(Math.min(nums)); Math.min과 Math.max로 최대, 최소를 쉽게 구할 수도 있네요! console.log(Math.sqrt(25));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