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함수가 정의될 때는 파라미터가 있는데, 호출할 때 사용자가 파라미터를 넘겨주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이 값을 넣어주자~ 하는 문법인데요 코딩을 누가 말로 이해합니다 코드로 보시죠 function student(name, age, nationality = 'korea') { console.log(`${name}학생은 ${age}살이고, ${nationality}사람입니다`); }; //함수 호출 student('lee', 20, 'UK'); student('kim', 30); //자 바로 여기!!!! 국적은 디폴트 값인 korea로 나오겠죠 두 번째 호출 코드 보이시죠? 이렇게, 파라미터를 넘겨주지 않을 때 자동으로 넣어줄 값을 함수 정의부에 대입 연산자를 써서 정의해주면 된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 디..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 다시 찾아온 빡침 포인트! 깔끔하게 정리하고 넘어갑시다. 우선, 둘은 공통적으로 "값이 없음" 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한 가지 차이점이 있어요. 자, 우선 undefined는 변수를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해주지 않은 채로 출력하려고 하면 출력됩니다. 바로 이렇게 말이죠. 그럼 null은 뭐냐? 사용자가 변수 안에 값을 비워두겠다고 명시할 때 직접 입력하는 값입니다. let a = null; console.log(a) //null 자, 정리하면, undefined는 할당되지 않고 선언만 된 변수를 출력할 때 사용자가 맞닥뜨릴 문구이고요, null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주는 경우를 빼고는 볼 일이 없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넣어주냐 아니냐의 차이일 뿐, 값이 비었다는 핵심 의미는 s..
템플릿 문자열은 파이썬으로 치면 포맷팅 기능인데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화면에 무언가를 출력할 때, 문자와 변수를 함께 출력하려면, +나 , 로 구분을 지어줘야 하는데요, 따옴표를 열고 닫는 일은 정말 번거롭죠. 그래서, 이것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하는데요, 바로 코드로 보시죠 //템플릿 문자열 사용 x let year = 2000; let month = 2; let day = 1; console.log('제 생년월일은' + year + '년' + month + '월' + day + '일입니다.'); //템플릿 문자열 사용 console.log(`제 생일은 ${year}년 ${month}월 ${day}일입니다.`); 어떤가요? 아래의 케이스가 훨씬 간편하죠? 사용 방법은, 문자열을 백틱..
자바스크립트에서 ==와 ===는 두 대상이 같은지를 확인하는 연산자이구요, !=와 !==는 두 대상이 다른지를 확인하는 연산자인데요, 등호의 개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바로 코드로 보시죠 console.log('1' == 1); //false console.log('1' === 1); //true ==를 쓰면, 자동 형 변환까지 한 걸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반면, ===는 자동 형 변환이 일어나지 않고, 정말 둘이 자료형까지 동일한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즉, 우리가 정말 같은지 확인하고 싶은 의도대로 쓰려면, ==가 아닌 ===를 써야합니다. 그러니, 실무에선 ===를 쓰겠죠? 마찬가지로, !=보단 !==를 씁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빡침 포인트 중 하나랄까요! Number, String, Boolean 함수를 써서 형 변환을 해주지 않아도, 일부 경우에 있어서 자바스크립트가 자기 마음대로 일정 규칙에 따라 형변환을 해서 겉보기엔 오류인 명령어들도 실행시켜버리는데요, 코드로 보시죠. console.log('1' + 2) //12 지금 보시면, 문자열과 숫자를 더하고 있죠? 파이썬이나 기타 언어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입니다. 무조건 에러죠 저건. 저렇게 프로그래밍 해두면 진짜 뺨따구를 엄청 맞는데요. 놀랍게도 자바스크립트는 12라는 결과를 내뱉습니다. +연산을 숫자와 문자끼리 할 경우, 둘 다 문자열로 자동으로 형 변환을 해버리고, 연산을 수행해버립니다. 이 부분 꼭 기억해두기. 그 외에도, 숫자로 변환이 가능한 모든..
말 그대로, 데이터 타입을 바꿔줍니다. 코드로 보시죠 //숫자 자료형으로 바꿔주기 console.log(Number('123')) //123 console.log(Number('hi')) //NaN Number함수를 쓰면, 숫자형으로 변경이 되네요~ 주의할 점은, N은 대문자로 써줘야 한다는 점! 또, '123'과 같이, 문자열 내부가 숫자인 경우는 숫자로 잘 변환이 되고, 그 이외는 NaN이 된다는 점! //문자형으로 변경 console.log(String(1) + String(2)); //12 출력결과는 3이 아니라 12가 되겠죠~ 여기서도 첫 글자 S는 대문자로 써주기! //불린형으로 변경 console.log(Boolean(1)); //true console.log(Boolean(0)); //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