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코드로보시죠
개발을 하다가, 변수가 너무 많아져서 이 변수가 어떤 데이터 타입을 참조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는 typeof 변수명 의 형태로 써주면 됩니다. 출력 결과는 해당 자료형을 문자열로 리턴해줍니다. 코드로 보시죠 let a = 5 let b = 1.0 let c = 'hi' console.log(typeof a); //number console.log(typeof b); //number console.log(typeof c); //string 한가지 특이한 점은, 파이썬이나 기타 언어와 달리, 자바스크립크는 정수와 소수를 int나 float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number자료형으로 퉁칩니다. console.log(1 + 1.3); //2.3 그래서, 이렇게 정수와 소수의 연산도 가능하다는 점! 자, 그..
true, false를 불린 자료형이라 한다고 예전 데이터타입 강의에서 말씀드렸죠. 오늘은 제대로 알아볼게요 코드로 바로 가시죠 console.log(3 > 4); //false console.log(3 === 3) //true 뭐 당연한 얘기인데요, 값이 같냐 다르냐부터 시작해서, 크기 비교 등등의 결과를 참과 거짓으로 반환해줍니다. 논리연산 and, or, not 자, 이번엔 논리연산에 대해 알아볼게요 간단하게 정리하면, and는 모든 조건이 참일 때만 참, or는 하나라도 참이면 참으로 취급하시면 됩니다. not은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꿔줍니다. 기호로는 and는 && or은 || not은 ! 입니다. 코드로 바로 가시죠 let flag = true let a = 3 let b = 5 i..
바로 코드로 보시죠 //기본 케이스 let a = 'hi' let b = "hi" 이렇게,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 안에 내용을 적어주시면 자바스크립트는 hi라는 문자열을 잘 인식합니다. 참고로, 시작과 끝 따옴표의 모양은 같아야 합니다. 자, 그런데, 출력하고 싶은 문장 자체에 따옴표가 있다면 어떡할까요? 예를 들어, I'm Lee 라는 문장이요. 바로 코드로 보시죠 //방법1 - 문장 내 따옴표와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를 다르게 하기 console.log("I'm Lee"); //방법2 - 겹치는 따옴표 앞에 역슬래시 붙이기 console.log('I\'m Lee'); //방법3 - 문자열을 감싸는 것을 따옴표 대신 백틱으로 쓰기 console.log(`I'm Lee`) /*참고로, 백틱 문자는 맥북..

바로 코드로 보시죠. 누가 코딩을 글로 합니까? 초반부 강의는 초보자들을 생각하며 쓰니까 글이 많은데, 뒤로 갈수록 코드 중심의 블로그가 될 겁니다. let a = 10; let b = 4; //덧셈 console.log(a + b); //뺄셈 console.log(a - b); //곱셈 기호는 *하나 console.log(a * b); //소숫점까지 출력 console.log(a / b); //정수부분 몫만 출력 console.log(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만 출력 console.log(a % b); //거듭제곱 console.log(2 ** 3); 그리고, 연산자 앞 뒤로는 띄어쓰기를 한 칸씩 해주는 것이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것도 역시 띄어쓰기 안 하면 전공자들끼리는 속으..
return 뒤에 값을 적으면, 그 값을 함수 호출부에 전달해주죠. 전달만 할 뿐, 출력하진 않아요. 아직 이해 안 되시는게 당연한데요, 바로 코드로 보시죠. function noReturn(num){ console.log(num); }; function withReturn(num){ return num + 1 }; //함수 호출부 noReturn(1) withReturn(1) 자, noReturn 함수는 함수 기능 자체에서 console.log를 찍어주니까 호출 결과 1이 출력되겠죠. 그런데, withReturn(1)을 호출하면, 함수 내부에 출력함수가 없어서 실행 결과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요 그럼, 아래처럼 코드를 바꿔보면 어떨까요? function withReturn(num){ return num..
자, 변수가 값을 저장(컴공 버전으로 정확히 말하면 값의 주소를 참조) 암튼, 값을 저장한다 치면 함수는 명령어들을 저장합니다. 자주 쓰는 명령어를 반복해서 쓰기 귀찮을 때 함수로 만들어두고, 함수를 호출하기만 하면 되는거죠.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function 함수이름(파라미터){ 명령어; 명령어; }; 예를 들어보죠. //함수 정의 function sum(num1, num2) { console.log(sum1 + sum2) }; //함수 호출 sum(1,2); sum(3,4); 두 숫자를 받아서 덧셈 결과를 출력해주고 있네요 이렇게 함수를 사용하면, console.log를 두 번 쓰지 않고, 간단하게 함수 호출만으로 사용 가능하네요. 함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함수를 정의한 후에, 함수의 이름을 쓰..